글자 태그
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가장 일반적인 태그. 일부 태그들은 style 시트로 대체되고 있다.


파일 경로(path)
1. 상대 경로
- 현재 파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하려는 파일의 상대적인 경로를 적는 것
- 자기 자신이 기준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위치가 바뀌는 것에 취약함
" 서울시 서울동 서울 아파트 301호에 살고 있는 사람이 말하는 옆 집 "
" 저의 조카는 저보다 10살이 어립니다" -- 상대적인 조카의 나이는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10년이 지나도 O
나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집니다
기호 | 의미 |
./ | 현재 디렉토리 [생략 가능] |
../ | 상위 디렉토리 |
2. 절대 경로
- 파일의 root부터 해당 파일까지의 전체 위치정보(URL)
- 절대 경로는 보통 다른 사람의 문서나 파일을 이용할 때 사용
- 절대 경로는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해서 무슨 일이 있어도 찾아가지만 후에 경로가 변경되면 파일을 찾지 못해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.
" 서울시 서울동 서울 아파트 302호 "
" 저의 조카는 10살입니다" -- 10년 뒤 20살이기 때문에 10년이 지나면 X
나의 위치와는 무관합니다
기호 | 의미 |
/ | 최상위(root) 디렉토리 |
상대경로 vs 절대경로
상대경로 절대경로
"assets/lion.jpg" "/assets/lion.jpg"
지금 작업 중인 파일과 같은 위치에 있는 가장 상위 위치에서 시작해
assets 폴더 안에 lion.jpg를 의미 assets 폴더 안에 있는 lion.jpg를 의미
[첫 번째 Case: myproject.html에서 lion.png 접근]



- 상대경로: <img src="image/lion.jpg">
지금 작업 중인 파일인 myproject.html과 image 폴더가 같은 위치에 있음 - 절대경로: <img src="/image/lion.jpg">
가장 최상위 폴더인 likelion에서 시작해서 image 폴더 내의 lion.jpg를 가리킴
[두 번째 Case: myproject.html에서 lion.png 접근]



- 상대경로: <img src="../image/lion.jpg">
지금 작업 중인 파일인 myproject.html에서 한 번 상위(밖으로)로 나와 image 폴더 내의 lion.jpg를 가리킴 - 절대경로: <img src="/image/lion.jpg">
가장 최상위 폴더인 likelion에서 시작해서 image 폴더 내의 lion.jpg를 가리킴
<a> 태그의 id 속성으로 내부 링크(책갈피) 기능 구현
<a> 태그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 웹페이지 내에서도 연결할 수 있다. 연결 지점을 id 속성으로 세팅해두면 클릭하는 순간 바로 이동한다. → 책갈피 기능
<a id=”이동위치이름”> 이동할 위치</a>
<a href=”#이동위치이름”> 위치 이동 클릭</a>
table 만들기
html에서 표를 구현할 때 <table> 태그 안에 <tr>, <td>, <th>를 넣어 열과 행 및 제목을 구분하여 표를 만든다.
태그
- <tr> (table row): 행
- <td> (table data): 열(행의 내용)
- <th> (table heading): 행, 열의 제목
- <caption>: 표 제목
- <thead>: 머리글
- <tbody>: 본문
- <tfoot>: 꼬리말

<h1>표 만들기 - table태그</h1>
<!-- 3행 2열 테이블 만들기 -->
<table border="1" width="300" height="150">
<!-- 1행 tr태그 (table row; 행) -->
<tr>
<!-- 2열: td태그 (table data, table definition; 열) -->
<td>1행1열</td>
<td>1행2열</td>
</tr>
<!-- 2행 -->
<tr>
<td>2행1열</td>
<td>2행2열</td>
</tr>
<!-- 3행 -->
<tr>
<td>3행1열</td>
<td>3행2열</td>
</tr>
</table>

<table border="1" width="90%">
<caption>월별 저축액</caption>
<thead>
<tr>
<th>Month</th>
<th>Savings</th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>1월</td>
<td>500,000원</td>
</tr>
</tbody>
<tbody>
<tr>
<td>2월</td>
<td>300,000원</td>
</tr>
</tbody>
<tbody>
<tr>
<td>3월</td>
<td>100,000원</td>
</tr>
</tbody>
<tfoot>
<tr>
<td>총합계</td>
<td>900,000원</td>
</tr>
</tfoot>
</table>

열병합(colspan) & 행병합(rowspan)

- colspan: 열(세로줄)을 확장하여 넓힌다
좌우병합 - rowspan: 행(가로줄)을 확장하여 넓힌다
상하병합
<body>
<h1>table의 열병합(colspan), 행병합(rowspan)</h1>
<h2>Left, Top에서 병합하자</h2>
<!-- 3행 4열 테이블 -->
<table border="1" width="400">
<tr>
<th colspan="3">1,1</th>
<!-- <td>1,2</td>
<td>1,3</td> -->
<th rowspan="3">1,4</th>
</tr>
<tr>
<td>2,1</td>
<td rowspan="2">2,2</td>
<td>2,3</td>
<!-- <td>2,4</td> -->
</tr>
<tr>
<td>3,1</td>
<!-- <td>3,2</td> -->
<td>3,3</td>
<!-- <td>3,4</td> -->
</tr>
</table>
</body>

<iframe> 태그
iframe 태그(inline frame): 해당 웹 페이지 안에 다른 html 파일을 불러와서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
<iframe width="560" height="315" src="https://www.youtube.com/embed/JZcdEM1-xhw?si=bOUCJRsQB9UKSz0Q"
title="YouTube video player" frameborder="0"
allow="accelerometer; autoplay; clipboard-write; encrypted-media; gyroscope; picture-in-picture; web-share"
allowfullscreen></iframe>


<audio> 태그 & <video> 태그
<audio> 태그
- src: 음악 파일의 경로 지정
- autoplay: 음악 자동 재생
- loop: 음악 반복 재생
- controls: 음악 재생 도구 출력
<video> 태그
- src: 비디오 파일의 경로 지정
- autoplay: 비디오 자동 재생
- loop: 비디오 반복 재생
- controls: 비디오 재생 도구 출력
- width: 비디오의 너비 지정
- height: 비디오의 높이 지정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<h1>오디오 재생-audio</h1>
<audio src="audios/I_Have_A_Dream.mp3" controls="controls"></audio>
<hr>
<audio controls loop="2" autoplay>
<!-- 브라우저마다 지원되는 파일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파일 형식을 넣어줌 -->
<source src="audios/Ob-La-Di Ob-La-Da.ogg">
<source src="audios/Ob-La-Di Ob-La-Da.mp3">
<source src="audios/Ob-La-Di Ob-La-Da.wav">
오디오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
</audio>
<hr>
<h1>비디오 재생 -video</h1>
<video controls poster="audios/a.png">
<source src="audios/wildlife.mp4" width="300">
</video>
</body>
</html>
